본문으로 건너뛰기
0%
AI 멀티플렉싱 워크플로우: ADHD급 생산성 폭발 (Part 1)

AI 멀티플렉싱 워크플로우: ADHD급 생산성 폭발 (Part 1)

여러 AI 툴을 동시에 돌리며 얻은 워크플로우 전략과 생산성 인사이트 공유

카테고리

AI 워크플로우 생산성

AI 멀티플렉싱 워크플로우: ADHD급 생산성 폭발 (Part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다른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요즘 저는 컴퓨터 앞에 앉으면 ADHD가 극에 달한 것처럼 여러 AI 툴을 동시에 돌리고 있습니다. 이 혼돈 속에서 나름의 질서를 찾고 실제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해가는 여정을 공유해보려고 해요.

내가 사용 중인 AI 스택

매일 사용하는 툴들로 월 $100 이상 쓰고 있습니다:

  • Cursor Pro - 메인 코딩 환경
  • ChatGPT Pro - 감정노동과 고객 응대 담당 (ㅋㅋ)
  • Claude Code - 공격적인 코딩 작업
  • Gemini CLI - 문서화 전문가
  • Gemini Pro 2.5 - 리서치와 새 프로젝트 기획

확실히 많이 쓰고 있긴 한데, 매주 AI 워크샵도 가르치고 있어서 나름의 노하우가 쌓였습니다. 접근 방식을 다듬어가면서 생산성이 점점 향상되는 걸 느끼고 있어요.

이제 어느 정도 감이 잡혀서 이 여정을 문서화하기로 했습니다.

전체 워크플로우 개요

graph TB  subgraph "AI Stack (월 $100+)"  A1["🔵 Cursor Pro<br/>메인 코딩"]  A2["🟢 ChatGPT Pro<br/>감정노동 & 고객 응대"]  A3["🟣 Claude Code<br/>공격적 코딩"]  A4["🔴 Gemini CLI<br/>문서화 전문가"]  A5["🟡 Gemini Pro 2.5<br/>리서치 & 기획"]  end  subgraph "공통 워크플로우"  B1["1️⃣ 새로운 컨텍스트 창<br/>Fresh Start"]  B2["2️⃣ 정리된 컨텍스트<br/>구조 제공"]  B3["3️⃣ 응답 형식<br/>생각하게 만들기"]  B4["4️⃣ 명확한<br/>요청"]  B5["5️⃣ 피드백<br/>프로세스"]  B6["6️⃣ 컨텍스트 문서<br/>업데이트"]  B1 --> B2 --> B3 --> B4 --> B5 --> B6  end  subgraph "워크스페이스 구성 (5-8개 인스턴스)"  C1["📡 원격 SSH"]  C2["💻 네이티브"]  C1 --> C11["제품 코드"]  C1 --> C12["빌드 서버 1-2"]  C1 --> C13["테스트 환경 1-2"]  C2 --> C21["블로그/문서화"]  C2 --> C22["강의 자료 1-2"]  end  subgraph "도구별 사용법"  D1["Claude Code<br/>💸 3시간 제한"] --> D11["공격적<br/>코딩 작업"]  D2["Cursor + Chat"] --> D22["에이전트 모드<br/>핑퐁"]  D3["ChatGPT Pro"] --> D33["이메일<br/>감정노동"]  D4["Gemini 2.5 Pro"] --> D44["문서화<br/>우수성"]  end  A1 -.-> B1  A3 -.-> D1  A4 -.-> D4  style A1 fill:#e1f5fe  style A2 fill:#e8f5e8  style A3 fill:#f3e5f5  style A4 fill:#ffebee  style A5 fill:#fffde7

이 다이어그램이 제 현재 AI 멀티플렉싱 워크플로우의 전체 구조입니다!

모든 LLM에 적용하는 공통 워크플로우

경험상 어떤 AI를 쓰든 이 접근법이 일관되게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1. 자주 새로운 컨텍스트 창 열기

  • 긴 대화를 정리하고 새로 시작하는 걸 주저하지 마세요
  • 집중된 대화가 훨씬 효과적입니다

2. 잘 정리된 컨텍스트를 제공해서 생각하게 만들기

  • 즉시 답을 요구하지 말고 상황을 먼저 이해하게 하세요
  • 핵심은 키워드 추출부터 시작하는 것

3. 좋은 응답 형식을 제시하거나 생각하게 만들기

  • “이런 형식으로 응답해”보다는
  • “먼저 이 응답에 가장 적합한 형식이 무엇일지 생각해봐”

4. 명확한 요청하기

  • 모호한 요청은 모호한 답변으로 이어집니다
  •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결과물을 요구하세요

5. 피드백 프로세스로 계속 생각하게 만들기

  • 첫 번째 시도에서 완벽한 답을 기대하지 마세요
  • 피드백을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하세요

6. 컨텍스트 문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 프로젝트 설정, 워크플로우 등을 마크다운 파일로 유지
  • AI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

️ 실제 워크스페이스 운영 방법

모든 워크스페이스는 git repo이고 여기서 cursor 인스턴스를 띄웁니다. 보통 5-8개가 돌아가고 있어요:

원격 개발 (SSH 기반)

  • 제품 코드 (원격 dev-container via remote ssh)
  • 프로덕션 이미지 빌드 서버 워크스페이스 1-2개
  • 테스트 환경 워크스페이스 1-2개

네이티브 개발

  • 블로그/문서화 워크스페이스
  • 강의 자료 워크스페이스 1-2개 (여러 과정을 진행하고 있어서…)

도구별 사용 전략

Claude Code ($100 티어)

공격적인 코딩 작업에만 사용하고 있고, 대략 2개 저장소에서만 쓰고 있습니다.

💸 그런데 Claude Code도 3시간마다 리셋되는 사용량 제한이 있어서 부족해요… 프리미엄 가격을 내고도 이런 제한이 있다니 짜증나네요 ㅠㅠ

Cursor + Chat

대화를 통한 반복적인 코드 개선이 필요한 작업에는 에이전트 모드나 핑퐁을 사용합니다.

실제 클라이언트 작업을 할 때는 주로 Cursor + Claude Sonnet 4.0 또는 Gemini 2.5 Pro를 씁니다.

ChatGPT Pro

솔직히 많이 안 써서 구독 취소를 고민 중… 하지만 고객 지원 이메일과 감정노동에는 정말 편해요. 그것만으로도 가치가 있을지도? ㅋㅋ

Gemini 2.5 Pro

한 가지는 확실합니다: 2025년 1월 기준으로 Gemini 2.5 Pro는 문서화에 정말 탁월합니다.

그래서 문서화 작업을 할 때는 Gemini CLI를 선호합니다.

새 프로젝트 시작의 비밀

새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는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를 제대로 작성하는 데 집중합니다.

물론 완전한 PRD를 직접 만드는 건 어렵기 때문에 Gemini 2.5 Pro를 리서치에 활용합니다. 때로는 잘 작동하고 때로는 그렇지 않은 AI 에이전트들이 더 일관되게 작동하도록 돕기 위해 PRD 방법론을 연구했어요.

PRD 방법론과 템플릿도 만들어뒀으니 관심 있으시면 확인해보세요!

마무리하며…

사실 이 글은 Claude Code 사용량이 리셋되기를 기다리면서 쓰기 시작했습니다… ㅋㅋ

다음 포스트에서는 각 도구별 구체적인 프롬프트 전략과 실제 프로젝트 적용 사례를 더 깊이 다뤄보겠습니다.

여러분은 AI 툴을 어떻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이 포스트는 매일 AI 툴을 사용하는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비슷한 도전에 직면한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

여러분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댓글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댓글을 남겨보세요. 건설적인 의견과 질문을 환영합니다!

댓글을 불러오는 중...